'Ludwig Wittgenstein'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1.12.16 별을 보는 사람들 2

별을 보는 사람들

별꽂이 2011. 12. 16. 18:41

 

 



 

 

 



배우 김혜수는 2010년, 영화 '타짜'에서 '나, 이대 나온 여자야!'라는 명대사를 회자시키며 자신의 필모그래피에 굵은 획을 그었다. 개인과 집단은 정체성을 기반으로 존립하며, 존재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고, 미래로 인도하는 이해와 인식이 정체성임을 보여 주는 사례이다. 
크게는 기후, 음식, 복식, 문자, 언어 등이, 작게는 거주지, 직업, 가족 등이 사람의 신체와 정신을 지배하는 주요한 요소로 언급된다. 오늘날에는 여가 생활로서의 취미 또한 그에 못지 않은 인자로 중시되며, 수집광, 낚시꾼, 드라마 폐인, 밀리터리 오타쿠, 자동차 마니아, 훌리건과 같이 취미가 삶을 좌우하는 사례를 통해 설명된다.
개인은 집단 내에서의 익명성에 안주하기도 하지만, 남다른 존재로 부각되고자 하는 양면성을 갖는다. 고등학생들의 눕시 자켓 광풍과 성인들의 DSLR 열풍에는 차별화와 동일시에 대한 갈망이 혼재되어 있음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각주:1] 하지만, 외적인 화려함에서 내적인 충실로 눈길이 가게 되면 다양한 준거집단을 원하고, 그 안에 속하며, 그것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조상호님이 쓰신 '별을 보는 사람들'에는 밤하늘의 매력에 빠진 아마추어 천문인들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그들이 사는 법, 별을 가까이 하는 마음과 방법을 찬찬히 들려주는 이 작은 책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각주:2]이 남긴 말을 되뇌게 만든다. 그는 사물의 중요한 측면을 보지 못하게 하는 동기로 단순성과 일상성을 들었다. 이에 비추어 본다면, 점점이 빛나는 별들의 단순성과 오늘이 아니어도 다시 볼 수 있다는 밤하늘의 일상성이 사람들로 하여금 우주의 한없는 아름다움에 눈감게 하는 것은 아닐까?  
밤을 감싸는 추위와 피로, 불편리와 외로움이라는 작지 않은 제약을 넘어서야 하는 건 즐거움이 아니라 고행일 수 있기에 취미의 수준을 넘어서는 천문 아마추어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 하지만, 별을 보고 즐기는 것에 유별나고 대단한 무엇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별이라는 순수함의 준거를 공감하는 마음만 있다면 누구나 이미 '별을 보는 사람들'이며, 공동체를 이루는 저변이 된다.
'나, 별 보는 사람이야!' 라며 자긍하는 무명의 구성원이 많은 준거집단. 그 곳이 대한민국의 다른 이름이기를 바란다. 지금 창 밖에는 반짝이는 금성이 저물어 간다.

 




 

  1. 결국 NONOS(No Logo, No Design)족이 나타나는 아이러니를 보게 된다. [본문으로]
  2. Ludwig Wittgenstein [본문으로]

'별꽂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카의 별  (0) 2012.08.21
달팽이의 별  (0) 2012.04.22
로켓에서 플라네타륨까지  (0) 2011.12.06
NATIONAL GEOGRAPHIC  (0) 2011.10.11
PAPER, 달을 탐하다  (0) 2011.09.29
Posted by TOTM
,